정보사회에서 왜 가짜정보가 더 문제되는 것일까?
미디어 리터러시, "디지털 사회의 필수 생존역량이자 경쟁력이지만, 개인의 책임과 영역으로만 볼 일은 아닙니다. 디지털 사회를 살아가는 모두에게 필수불가결한 능력이라는 점은 이를 사회적 차원으로 접근해야 함을 의미합니다."
-
정보사회에서 왜 가짜정보가 더 문제되는 것일까?
미디어 리터러시, "디지털 사회의 필수 생존역량이자 경쟁력이지만, 개인의 책임과 영역으로만 볼 일은 아닙니다. 디지털 사회를 살아가는 모두에게 필수불가결한 능력이라는 점은 이를 사회적 차원으로 접근해야 함을 의미합니다."
-
-
-
-
제2회 커먼즈 어워드 시상식 : 2021 커먼즈 어워드
수상자: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(열림 부문), 고려대학교 다양성위원회(다양성 부문), 박지환 변호사(참여 부문)
-
[인터뷰] 정치 스타트업, 섀도우캐비닛 김경미 대표
"자신이 풀고자 하는 사회 문제를 풀 수 있는 실력도 키우고, 자신과 함께 할 팀도 찾고, 언젠가 공공 영역에서 일을 한다면 어떤 일을 하고 싶은지 자신의 목적을 계속 확인하게 도와주는 곳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 섀도우캐비닛이 가진 비전이랍니다."
-
[인터뷰] 시민과학 프로젝트, 우동수비대(우리 동네 동물원 수비대)
어린이와 대학생이 전문가와 함께한 동물원 복지 조사 프로젝트 우동수비대의 목표는 "어린이들의 목소리를 모아서 동물원 허가제가 통과되는 것"입니다.
-
[인터뷰] 지속가능한 미디어 실험, '얼룩소(alookso)' 정혜승 대표
"얼룩소는 중요한 의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론장을 구축하고, 지속가능한 미디어 생태계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"
-
-
[인터뷰] 과학기술학 연구자 임소연 교수 (2)
"세상은 뛰어난 능력을 가진 여성들에 주목합니다. 이공계 여학생 대상 행사에도 그런 분들이 와서 도전과 성공의 스토리를 전하죠. 그런 뉴스들이 많아지면 여학생들이 이공계 전공으로 몰릴 것 같지만 사실 그 반대입니다."
-
[인터뷰] 과학기술학 연구자 임소연 교수 (1)
기술의 젠더편향에는 기술개발 시 남성 사용자 혹은 남성의 몸을 표준으로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젠더편향과, 젠더 고정관념을 적용함으로써 생기는 젠더편향이 있습니다.
-
-
[인터뷰] 김원영 변호사 "장애인은 문화의 감상자를 넘어 창작자가 될 수 있어야 합니다"
시각장애인이 미술관에 가지 못하는 건 정말 당연한 걸까요? 2021년의 접근성은 20년 전과 달라야 합니다
-
-